

Soprano Miyoung Joo Recital
소프라노 주미영 귀국 독창회
1. 일시장소 : 2018년 10월 24일(수) 오후 7시 30분 / 영산아트홀
2. 주 최 : 영음예술기획
3. 후 원 : 서강대학교 총동문회,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원, 피바디음대,
이태리 밀라노 국립음대 동문회
4. 입 장 권 : 전석 2만원
5. 공연문의 : 영음예술기획 (02)581-5404 www.iyoungeum.com
P R O F I L E
* Soprano 주미영
소프라노 주미영은 서강대학교에서 사학과 법학을 공부한 후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성악을 공부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독일과 이태리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8년 동안 학업과 연주 경력을 이어왔고 독일 함부르크 시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수료, 이태리 밀라노 국립음대에서 오페라 전공으로 Diplom 과정을 졸업한 후 같은 학교에서 Stelia Doz와 낭만주의 음악을, Marinella Pennicchi와 바로크 성악을 공부한 후 만장일치 만점으로 헨델의 로마 체류 시절 음악에 대한 연구 논문으로 Post graduate 과정인 Biennio를 취득하였다. 그는 바로크 성악 전공으로서는 이탈리아인과 외국인을 통틀어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대의 1호 졸업생이기도 하다. 그 후 바로크 오페라 레퍼토리를 심화하기 위해 노바라 국립음대에서 바로크 성악 전공으로 헨델음악 전문가인 카운터테너인 Roberto Balconi와 공부하기도 했다. 특히 이탈리아 르네상스 음악과 바로크 음악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밀라노 베르디 음악원을 류트 전공생으로 입학하여 Francesca Torelli 교수 아래서 음악적 깊이를 더하기 위해 노력하며 학구적인 원전 연주 기법을 성악과 기악의 측면에서 함께 연구하였다. 다양한 레퍼토리와 학문적 관점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으로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후 미국 볼티모어에 위치한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피바디 음악원에서 전문연주자과정인 GPD 과정을 장학생으로 입학하였으며 저명한 바리톤 William Sharp 교수와 Maryland 주의 주도인 Annapolis 오페라단 음악감독인 Ronald Gretz의 지도 아래서, 피바디 오페라 프로덕션인 바로크 오페라 “La Calisto”의 주역 중 하나인 Diana 여신과 제우스가 변장한 Giove in Diana 로 1인 2역을 완벽히 소화하며 호평받았다.
또한 제 20회 로마 Anemos 국제콩쿨 2위 입상, 제 7회 OPERA RINATA 국제 오페라 콩쿨에서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부문 특별상, 제 3회 CONCORSO SIPARIO - VOCI DI DONNA. SEZIONE SIPARIO-LIRICA (Savona) 콩쿨과 제 5회 T.O.S.C.A 국제 성악 콩쿨에서 파이널리스트에 오르는 등, 다수의 국제 콩쿨에도 입상하였고,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역할로 서울, 함부르크, 로마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오페라 작품과 음악 축제, 콘서트에서 연주하였다. 독일 브란덴부르크 극장에서 벨칸토 오페라 아리아 중심의 콘서트를 협연하였고 전석 매진되어 앵콜 공연을 이어가며 지역 방송국에 특별 출연하였고 그 후 브란덴부르크주의 음악 축제인 “Oper oder Spree” 에 참가하였다. 특히 이태리 3대 극장 중 하나인 피렌체 시립극장 Teatro del Maggio Musicale Fiorentino에 소속된 Maggio Fiorentino Formazione의 바로크 오페라 영아티스트로 헨리 퍼셀의 오페라 “The Fairy Queen”의 주인공으로 데뷔하며 Teatro San Casciano, Teatro Goldoni에서 공연하였다. 밀라노에서 지휘자 Pietro Mianiti 오페라코스를 수료하며 Milano Clavicembalo Verde의 프로덕션에서 베르디의 오페라 “Rigoletto”의 Gilda 역할과 “La Traviata”의 Violetta역을 공연하였고 Rome Opera Festival에서 Mozart의 오페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역할과, Donizetti의 오페라 사랑의 묘약에서 Adina 역할로 호평받으며 오페라 무대를 지키는 동시에, 시대와 장르를 뛰어넘는 위대한 음악을 직접 체험하고 받아들이기 위해 Regina Werner, Dagmar Shellenberger, Sara Mingardo, Norman Shetler, Giacomo Aragall, Marcello Lippi, Emma Kirkby 등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가들의 마스터 클래스를 참가하였다. 또한 2015년 바티칸에서 열린 부활절 기념 음악회와 산마리노 공화국 초청 연주회 등 이탈리아 전역에서 오페라 뿐 아니라 예술가곡과 종교곡을 위한 전문 콘서트 연주자로서도 많은 초청을 받았다. 미국에서도 다양한 오페라와 콘서트의 주역으로 활동 중인 그는 2017년 미국 보스턴에서 해마다 열리는 Boston Early Music Festival 2017의 초청을 받아 이태리 바로크 작곡가 Giulio Caccini와 G. F. Händel의 곡을 연주하였다. 또한 2017년 여름에 미국 필라델피아 Warden 극장에서 러시아 오페라 워크샵 2017년 아티스트로 A. Dargomyzhsky의 오페라 “Rusalka” 에서 “Olga”역으로 열연하였고 멕시코의 도시 Oaxaca 에서 해마다 열리는 International Festival Oaxaca에서 이태리 바로크 작곡가 Pergolesi의 오페라 역사상 기념비적인 작품인 “La Serva Padrona”의 여주인공 Serpina역을 맡는 등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이어갔다.
한편, 밀라노 베르디 음악원 피아노과 교수인 Giuseppe Leanza와 가곡 듀오를 결성한 후 이탈리아 Como 호수에서 매년 열리는 현대 음악 축제인 Bellagio music festival 에 초청받아서 현대곡을 주제로 한 Duo 콘서트 “Vocazione Lirica” 공연한 후 “ⅩⅠⅩ Stagione Concertistica Caelium” 협회 연주에 초청되어 Brindisi 와 Taranto 시에서 공연하며 Massimo Gianfreda와 nino Nicolosi와 같은 현대 작곡가들의 곡을 작곡가 앞에서 라이브로 초연하며 녹음하는 등 르네상스에서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음악적 깊이로 각종 레코딩에서도 호평받았으며 동시에 Roma Barocca Ensemble 의 유일한 동양인 정단원으로 작곡가 Paolo Quagliati 의 모음곡집 “La Sfera Armoniosa”를 초연한 바로크 원전연주 음반을 이태리의 유서깊은 Bon Giovanni 레이블에서 출반하였다. 2015년에 밀라노에서 열린 Expo 를 기념하여 밀라노 국립음대에서 특별 편성된 공연 프로그램인 “Omaggio a Richard Strauss”에서 슈트라우스 가곡을 연주하는 등 르네상스 음악에서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레퍼토리와 각각의 시대에 맞는 캐릭터를 살리는 정격연주로 호평받아왔다.
가사가 있는 것이 음악적 특징인 성악 예술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유학지에서 공부하는 동안 현지의 언어와 문화를 익히는 것도 게을리 하지 않은 결과 독일어, 이태리어,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를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을 정도로 노력했으며 그런 만큼 특히 극적인 내용의 텍스트와 어렵고 까다로운 바로크 오페라의 레치타티보 전달력이 탁월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2018년 5월에 피바디 음악원 졸업 후 최근에는 밀라노 근교의 Teatro Antonio Belloni 극장의 2018년 가을 정규 시즌 프로그램에 포함된 개인 리사이틀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성실한 음악가가 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이번 귀국 독창회에서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와 바르바라 스트로찌의 16세기 이탈리아 초기 바로크 곡과 낭만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리스트와 베르디,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드뷔시의 연가곡, 낭만에서 현대로 넘어가는 세기 말의 음악을 표현한 알반 베르크의 연가곡과 더불어 단순한 미니멀리즘적 성격인 듯 하지만 결코 단순하지 않은 미국 작곡가 존 듀크를 연주할 예정이다.
* Piano 함유진
- 숙명여대 음악대학 피아노과 및 동 대학원 기악과 피아노전공 석사 졸업.
- 성신여대 음악대학원 반주학과 석사 졸업.
- O. Respighi Academy 최고 전문 연주자 과정 졸업.
- 수원대학교 대학원 반주학 박사 수료.
- KBS 찾아가는 음악회, 국립 국악원 금요 공감 콘서트,
차이코프스키 서거 100주년 기념 가곡 전곡 연주 참가, 세계 예술가곡 페스티벌 참가,
협성대 주관 학술대회 연주 및 논문 발표,
R. Schumann 가곡 음반 녹음, 수십 회 앙상블 연주 및 독창회 반주.
- 숙명여대, 전북대학교 강사 역임
- 현재 수원대학교 음대 대학원 출강, 소노로스 앙상블 대표, 한국 반주음악연구소 정회원
* Cembalo 김희정
- 독일 Augsburg 음대 및 München 음대 대학원 졸업
- 스위스 Basel Schola cantorum 음대 수료
- 영국 Royal college of music London 대학원 졸업
- 독일 Leipzig 국립 음대 최고 연주자 Konzert Examen졸업
- 독일 Augsburg Universität 강사 역임
-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경희대, 연세대대학원, 장신대 출강
P R O G R A M
Claudio Monteverdi (1567-1643)
Laudate dominum in sanctis eius, SV 287 주님을 찬미하라
Barbara Strozzi (1619-1677)
Op.8.06 from "Arie a una voce" 내가 무얼 할 수 있는지
Franz Liszt (1811-1886)
Tre sonetti di Petrarca 페테라르카의 세 소네트
1. Pace non trovo 난 평안을 찾을 수 없네
2. Benedetto sia il giorno 축복하소서 그 날
3. I' vidi in terra angelici costumi 지상에서 천사의 자태를 보았네
Claude Debussy (1862-1918)
Quatre chansons de jeunesse 4개의 젊은 날의 노래
1. Pantomime 판토마임
2. Claire de lune 달빛
3. Pierrot 피에로
4. Apparition 환영
I n t e r m i s s i o n
Alban Berg (1885-1935)
Sieben frühe Lieder 7개의 노래
1. Nacht 밤
3. Die Nachtigall 꾀꼬리
7. Sommertage 여름날
John Duke (1899-1984)
The Bird 새
Little Elegy 비가
I carry your heart 당신의 마음을 지니리
Giuseppe Verdi (1813-1901)
È Strano 이상해
Ah, Fors'è Lui 아, 그이였던가
Sempre Libera 언제까지나 자유롭게
- from the Opera 'La Traviata'